얼마전 지상파 DMB 사업자 발표가 있었다. 지상파 사업자들과 비지상파 사업 후보자들간의 치열한 경쟁이 있는 뒤라 그런지 선정 사업자와 탈락 사업자간에 희비가 엇갈렸다.
DMB는 국가의 IT 추진정책의 하나로 꿈의 방송, 이동중 고화질 TV시청, 유비쿼터스(Ubiqitous)의 한 축, 통신과 방송 융합 등 화려한 후광을 업고 등장했다.
더구나 각종 언론과 연구기관들이 쉴새없이 온갖 장미빛 전망을 내놔 분위기를 띄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과연 그럴까.
국가와 사업자는 서둘렀지만 준비는 태부족이고 소비자는 앞으로 등장할 수많은 잠재적 경쟁기기에 혼란스러울 뿐이다.
지상파 재전송 문제를 놓고 지상파DMB와 위성DMB 사업자간의 논란은 준비되지 못한 컨텐츠의 빈약성을 드러내고 있다. 우위에 서있다는 지상파 방송사 또한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은 DMB에 재전송을 극대화하는 것처럼 보인다.
더구나 1~2년내 등장할 것으로 보이는 와이브로나 HSDPA, IP-TV나 디지털방송 등은 DMB와 다르게 보이지만 같은 시장에서 경쟁할 수밖에 없다.
이것이 그리도 자랑하는 IT강국의 면모인가. 해외수출 등 사업성이 있다지만 그렇다면 값비싼 단말기와 다양한 서비스에 혼란스런 소비자는 무슨 죄인가 싶다..
DMB는 국가의 IT 추진정책의 하나로 꿈의 방송, 이동중 고화질 TV시청, 유비쿼터스(Ubiqitous)의 한 축, 통신과 방송 융합 등 화려한 후광을 업고 등장했다.
더구나 각종 언론과 연구기관들이 쉴새없이 온갖 장미빛 전망을 내놔 분위기를 띄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과연 그럴까.
지상파 재전송 문제를 놓고 지상파DMB와 위성DMB 사업자간의 논란은 준비되지 못한 컨텐츠의 빈약성을 드러내고 있다. 우위에 서있다는 지상파 방송사 또한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은 DMB에 재전송을 극대화하는 것처럼 보인다.
더구나 1~2년내 등장할 것으로 보이는 와이브로나 HSDPA, IP-TV나 디지털방송 등은 DMB와 다르게 보이지만 같은 시장에서 경쟁할 수밖에 없다.
이것이 그리도 자랑하는 IT강국의 면모인가. 해외수출 등 사업성이 있다지만 그렇다면 값비싼 단말기와 다양한 서비스에 혼란스런 소비자는 무슨 죄인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