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기업협회에서 포털뉴스와 관련된 정책 제안을 아래와 같이 했다. 주된 내용은 포털뉴스가 가지는 현실적인 사회적 영향력에 걸맞는 의무와 책임을 다하겠는 것과 포털뉴스가 언론이냐 아니냐는 논쟁은 무익하다, 그리고 기사와 관련된 문제제기될 경우 기존 포털과 계약언론사간의 핑퐁이 아니라 언중위에서 신속히 판단해 임시조치를 취한 뒤 정식결과가 나오면 처리하자는 내용임. 정책제안(1) : 포털 뉴스 서비스 포털의 뉴스 서비스로 인한 피해 구제, 뉴스 게시중지 등 임시조치 허용을 내용으로 하는 언론중재법 개정이 해답이다 포털 사이트를 통한 뉴스 서비스는 바야흐로 성장기를 지나 본격적인 성숙기에 접어들었다. 대한민국 대다수가 포털을 통해 뉴스를 소비하는 현실에서 이제 그 어느 누구도 이러한 인터넷 환경과 대세를..
EBS 지식채널e에서 방영한 '이슈와 뉴스' 이슈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확산되는지, 그게 뉴스기사화되고 다시 확대재생산되는 구조를 말하고 있다. 그 중심에 포털이 존재한다. 연예뉴스로 기울어진 포털...'뉴스는 곧 연예가십'으로 만들어버린...원흉(?) 이견이 있다. 하지만 한마디만 하면 하루 천만명이 방문하는 포털과 딸깍과 함께 볼 수 있는 남녀노소, 빈부를 가리지 않는 TV. 어느 것이 우리 일상생활에, 연예(드라마, 오락, 쇼, 뮤직, 광고, 심지어 뉴스까지)라는 요소를 무의식적으로 스며들게 하는지... * 방문하는 : 적극적 행위가 필요, 딸깍...않는 : 상대적으로 적극적이지 않아도 되는, 다수의
구글이 비밀리에 영국 주요 신문사와 기사공급계약을 진행하고 있다는 영국의 선데이헤럴드의 보도를 온라인미디어뉴스에서 인용 보도했다. 구글은 검색을 통해 제목과 일부 내용만 보여주는 방식만 서비스하는데도 불구하고 일부 나라에서는 저작권 위반 패소당하는 등 이의제기가 언론사로부터 있었다. 그래서 AP 등 세계적 통신사들과는 계약을 진행했고 이번에는 영국에서 컨텐트 계약을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메타가 아닌 기사DB 자체를 공급하는 국내 시장에서도 언론사들이 구글의 움직임에 영향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닷컴이 아닌 일부 언론사에서는 구글 방식을 요구하고 있기도 하다. 만약 구글 방식으로 국내 시장도 변화한다면 포털뉴스는 일대 변화가 불가피하다. 일부 언론사닷컴의 경우 외국과 달리 대(對) 포털 매출이 큰 비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