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3월 11일부로 네이트(www.nate.com)와 싸이월드(www.cyworld.com)메인이 분리가 되었다. 물론 아직까지 완전 분리라 말하기 어렵지만 그 첫발을 내딛은 것이다. 지난 2009년 7월 싸이와 네이트는 수많은 내외부의 우려를 뒤로 하고 통합을 단행했다. 당시 네이트라는 포털 강화, 구체적으로는 검색포털에 승부를 걸려는 전략이었다. 이후 ‘시맨틱 검색’이라는 서비스를 출시하며 공격적인 마케팅도 집행하면서 한때 검색점유율 10%를 넘어 희망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었다. 하지만 2009년 12월 아이폰 출시를 기점으로 모바일 시장 확대와 더불어 페이스북과 트위터로 대표되는 SNS 강세가 이어지면서 싸이월드는 어려움에 시달렸다. C로그, 싸이플래그 등 여러 대응 서비스를 출시했지만 명..
아내와 난 프리챌에서 만났다. 지금은 한물 갔지만 프리챌은 한때 다음까페의 아성을 위협할 정도로 많은 이들이 커뮤니티 둥지를 틀었다. 바로 그곳에서 아내를 만났다. 특별한 목적이 없이 비슷한 연배의 네티즌들이 프리챌에서 만나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던 적이 있었다. 그런 어느날 모임 채팅에 우연히 들어온 아내와 대화를 시작하면서 호감을 가졌고 그건 만남으로 이어지고 프리챌에 또다른 커뮤니티를 만들어 사랑을 키웠다. 그때 그 무리들은 프리챌에 아무도 남지 않았다. 다음에도 없다. '싸이질'에 열중이다. 회사에서도 이곳저곳에서 싸이질을 한다. 상대적으로 싸이질을 하지 않는 난 외로워진다. 인간적인 냄새가 느껴지지 않은 싸이에 한두번 기웃거려도 보았지만 적응이 되지 않는다. 싸이는 커뮤니티라기 보다, 소위 말하..
천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싸이월드를 한다고 한다. '싸이질', 중독이자 유행어가 되었다. 사이버 머니인 '도토리'도 유머러스한 대화용 단어가 되었다. 2주전인가 KBS 폭소클럽이란 프로그램에서 한 개그맨이 도토리를 언급하며 농담했을 때 방청객들은 박장대소를 했다. 그런데 난 싸이월드가 싫다. 돈 들이지 않고는 멋들어지게 꾸밀 수 없는데다가 원활한 상호소통의 기능을 제공하는 블로그도 아니면서 블로그인 것처럼 설치는 싸이월드가 싫다. 도대체 글을 읽을 수도 없는 구조를 지닌 데다가 일촌같지 않은 일촌 관계를 강요하는 싸이월드. 우리 부서에도 몇명의 직원들이 싸이질을 한다. 점심시간이면 이곳저곳의 피시 화면에는 싸이월드의 정이 안가는 팝업창을 띄워 놓고 있다. 어쩔 수 없는 것이지만 자본주의 냄새가 너무 나는,..